현재 카트 성능의 수치는
드리프트
가속력
코너링
부스터 시간
부스터 충전량
으로 나타냅니다.
그러면 이 수치마다 어떤 값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일단 드리프트는 플랜트 파츠중
"드리프트 탈출력"에 영향을 주는 파츠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.
또한 드리프트 탈출력이 1 증가할 때마다 10씩 증가하는걸 보면
(드리프트) = 10×(드리프트 탈출력)
가속력은 플랜트 파츠중
"변신 부스터 가속"에 영향을 주는 파츠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.
또한 변신 부스터 가속이 1 증가할 때 마다 49 또는 50씩 증가하는걸 보면
(가속력) = 49(or 50)×(변신 부스터 가속)
코너링은 "좌우 회전 각도"에 영향을 받습니다.
또한 좌우 회전 각도가 1증가할 때 마다 50씩 증가하는걸 보면
(코너링) = 50×(좌우 회전 각도)
부스터 시간은 "스피드전 부스터 길이"에 영향을 받습니다.
또한 1 증가할 때 마다 30씩 증가하는걸 보면
(부스터 시간) = 30×(스피드전 부스터 길이)
부스터 충전량은 "부스터 게이지 충전 속도"에 영향을 받습니다.
또한 1 증가할 때마다 40씩 증가하는걸 보면
(부스터 충전량) = 40×(부스터 게이지 충전 속도)
이렇게 분석을 하여 얻을 수 있는 사실은
팀 부스터 길이는 부스터 시간에 영향이 안간다는걸 볼 수가 있고
코너링이 낮아도 잘 꺽이는 카트(드세, 파라곤 등등)는
좌우 회전 각도가 아닌 회전 민첩성이 매우 높다는걸 알 수 있게 되는 등
파츠 수치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