레지스트리는 크게HKLM, HKU, HKCU, HKR, HKCC가 있다.
※잘못 건드리면 게임이 실행되지 않거나 컴터가 이상해질 수 있습니다.※
지인중에 레지스트리 같은거 안중요하고 실력만 좋으면 된다는 애가 있어서 공략을 써본다.
(우리가 건드릴 것들)
하는법은,... 사람들이 많이 알고있을텐데
HKEY_CURRENT_USER → Control Panel → Accessibility → Keboard Response/Toggle Key/Keyboard)
ToggleKey는 카트바디의 묵직함, 값이 낮을수록 카트바디가 가벼운 느낌이 들고 값이 높을수록 카트바디가 무거운 느낌이 든다.
Keuboard는 2 0 (숫자)로, 키보드의 재입력 속도, 반응속도를 나타낸다.
2(뭔지 몰라요)
0(재입력 속도)
_(반응속도)
_부분은 2 0 31을 쓰든 2 0 3100을 쓰든 비슷비슷 하다.
가장 널리 쓰이는 값인 2 0 48을 쓰는것도 좋지만, 일부 타임어태커가 쓰는 2 0 31, 닐 선수가 쓰는 2 0 500도 추천한다.
(제어판에서 설정 할 수있는 최대값은 2 1 31이다 레지스트리에서는 더 높은 값도 가능) 글쓴이는 2 0 48
이제 설명은 여기까지
이제 중요한가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.
Keboard Response - 기본적으로 많이 쓰이는 값은
1번 - 1000 500 0 1000 126 0(0) 0(0) 0(0) 1000(3e8)
2번 - 300 300 0 0 26 0 300(12c) 300(12c) 0(0)
3번 - 0 0 0 0 0 0 0 (대부분의 스위퍼들이 이 값을 씀)
4번 - 200 6 0 0 59 0 200(**) 6(6) 0 (대만카트 1위 닐 선수가 쓴다고 알려져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 값을 쓴다고 들음)
참고로 1번은 윈도우 기본 레지스트리 값이다.
1번은 기본 레지스트리 체감속도가 빠르다.
2번은 체감속도도 적당하고 안정감이 있다.
3번은 좌우전환이 빠르다.
4번은 몸싸움이 강하고 체감속도도 적당하다.
ToggleKey - 앞서 말한것처럼 카트바디의 묵직함
58~62가 대부분 사용된다.
(일부 어태커는 34)
Keyboard - 앞서 말한것처럼 키보드 반응속도, 재입력 속도
2 0 31, 2 0 48, 2 0 50, 2 0 500, 2 0 3000
다양하게 2 0 48~2 0 500 안으로 사용하는것을 추천
그리고 2 0 48 이상은 비슷비슷 한 것 같다.
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
레지스트리를 생각하는 네이버 블로그, 유튜브를 찾아봐도
토글키 값이 34 < 62 톡톡이가 끊기는게 덜한다.
2 0 31보다도 2 0 48이 더 빠르다.
참고로 글쓴이는 레지스트리 설정 안건들이고 마엠블 붐힐까지 깼다.
자신에게 맞는 레지값을 찾는게 중요.
마지막으로 TMI지만 글쓴이 레지스트리는
300 300 0 0 59 0 300 300 0
2 0 48
144
이다.